99. 풀잎 斷章 99. 풀잎 斷章 조 지 훈 무너진 성터 아래 오랜 세월을 풍설에 깎여온 바위가 있다. 아득히 손짓하며 구름이 떠가는언덕에 말없이 올라서서 한줄기 바람에 조찰히 씨시기우는 풀잎을 바라보며 나의 몸가짐도 또한 실오리 같은 바람결에 흔들리노라. 아 우리들 태초의 생명의 아름다운 분신으로 여기 태.. 한국의 현대시 감상 2005.07.18
98. 僧 舞 98. 僧 舞 조 지 훈 얇은 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네라. 파르라니 깎은 머리 박사 고깔에 감추오고 두 볼에 흐르는 빛이 정작으로 고아서 서러워라. 빈 臺에 黃燭불이 말없이 녹는 밤에 오동잎 잎새마다 달이 지는데 소매는 길어서 하늘은 넓고 돌아설 듯 날아가며 사뿐이 접어 올린 외씨버선.. 한국의 현대시 감상 2005.07.18
97. 玩 花 衫 97. 玩 花 衫 조 지 훈 -- 木月에게 차운산 바위 우에 하늘은 멀어 산새가 구슬피 울음 운다. 구름 흘러가는 물길은 七百里 나그네 긴 소매 꽃잎에 젖어 술 익는 강마을의 저녁 노을이여. 이 밤 자면 저 마을에 꽃은 지리라 다정하고 한 많음도 병이냥 하여 달빛 아래 고요히 흔들리며 가노니 …… 1946. 상.. 한국의 현대시 감상 2005.07.18
96. 落 花 96. 落 花 조 지 훈 꽃이 지기로소니 바람을 탓하랴. 주렴 밖에 성긴 별이 하나 둘 스러지고 귀촉도 울음 뒤에 머언 산이 다가서다. 촛불을 꺼야하리 꽃이 지는데 꽃 지는 그림자 뜰에 어리어 하이얀 미닫이가 우련 붉어라. 묻혀서 사는 이의 고운 마음을 아는 이 있을까 저허하노니 꽃이 지는 아침은 울.. 한국의 현대시 감상 2005.07.18
95. 봉황수 95. 봉황수 조 지 훈 벌레 먹은 두리기둥1), 빛 낡은 단청(丹靑), 풍경2)소리 날아간 추녀 끝에는 산새도 비둘기도 둥주리를 마구 쳤다. 큰 나라 섬기다 거미줄 친 옥좌(玉座)위엔 여의주(如意珠) 희롱하는 쌍룡(雙龍) 대신에 두 마리 봉황새를 틀어 올렸다. 어느 땐들 봉황이 울었으랴만 푸르른 하늘 밑 추.. 한국의 현대시 감상 2005.07.18
94. 古 風 衣 裳 94. 古 風 衣 裳 조 지 훈(1920-1968) 하늘을 날을 듯이 길게 뽑은 부연 끝 풍경이 운다. 차마끝 곱게 늘이운 주렴에 半月이 숨어 아른아른 봄밤이 두견이 소리처럼 깊어가는 밤 곱아라 고아라 진정 아름다운지고 파르란 구슬빛 바탕에 자짓빛 호장을 받친 호장저고리 호장저고리 하얀 동정이 환하니 밝도.. 한국의 현대시 감상 2005.07.18
93. 해 93. 해 박 두 진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말갛게 씻은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산 너머 산 너머서 어둠을 살라 먹고, 산 너머서 밤새도록 어둠을 살라 먹고, 이글이글 애띤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달밤이 싫어, 달밤이 싫어, 눈물 같은 골짜기에 달밤이 싫어, 아무도 없는 뜰에 달밤이 나는 싫어…… 해.. 한국의 현대시 감상 2005.07.18
92. 道 峯 92. 道 峯 박 두 진 산새도 날아와 우짖지 않고, 구름도 떠나곤 오지 않는다. 인적 끊인 곳, 홀로 앉은 가을 山의 어스름. 호오이 호오이 소리 높여 나는 누구도 없이 불러보나, 울림은 헛되이 빈 골 골을 되돌아올 뿐. 山그늘 길게 늘이며 붉게 해는 넘어가고 황혼과 함께 이어 별과 밤은 오리니, 生은 오.. 한국의 현대시 감상 2005.07.18
91. 靑 山 道 91. 靑 山 道 박 두 진 산아. 우뚝 솟은 푸른 산아. 철철철 흐르듯 짙루른 산아. 숱한 나무들, 무성 히 무성히 우거진 산마루에, 금빛 기름진 햇살은 내려오고, 둥둥 산을 넘어, 흰구름 건넌 자리 씻기는 하늘. 사슴도 안 오고 바람도 안 불고, 넘엇골 골짜기 울어 오는 뻐꾸기 … 산아. 푸른 산아. 네 가슴 .. 한국의 현대시 감상 2005.07.18
90. 墓 地 頌 90. 墓 地 頌 박 두 진 北邙이래도 금잔디 기름진데 동그만 무덤들 외롭지 않어이. 무덤 속 어둠에 하이얀 촉수가 빛나리. 향기로운 주검읫내도 풍기리. 살아서 설던 주검 죽었으매 이내 안 서럽고, 언제 무덤 속 화안히 비춰줄 그런 태양만이 그리우리. 금잔디 사이 할미곷도 피었고 삐이 삐이 배.. 한국의 현대시 감상 2005.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