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시와 시어(詩語) 635

태아이

낙태된 생명. 세상 구경도 못한 채로 죽은 슬픈 생명.  아이야 태아이야새가 되어 꽃가지에 앉거든네 울음도 물고 와서거기에 놓아두면두견화로 다시 피겠지 ...... 중략......늘 혼자서 떠도는 아이야해 저물녘 강에 나가면노을도 끌어다 강물에 적시며 놀거라어두워지면 그 강에별들도 띄우면서 놀거라아이야 태아이야 (김상현, '胎태아이를 위한 진혼곡', "노루는 발을 벗어 두고", p. 40)

나무¹(2)

줄기나 가지가 목질화된 여러해살이 식물. 기본적으로 나무는 가지가 하늘을 향한다는 사실로 인해 상승지향성을 지니고 있으며 희망과 성취를 의미한다. 또 나무는 그 잎이 생성과 성장, 소멸과 재생의 순환을 보여줌으로써 자연의 순환적 생명력을 상징하기도 한다. 한편 나무는 성인군자적 품성을 지닌 자연물로서 인간에게 다양한 교훈성을 주는 상징물의 하나다.  그 잎 뒤에 흘러내리는 햇빛과 입 맞추며나무는 그의 힘을 꿈꾸고그 위에 내리는 비와 뺨 부비며 나무는소리내어 그의 피를 꿈꾸고가지에 부는 바람의 푸른 힘으로 나무는자기의 생이 흔들리는 소리를 듣는다 (정현종, '나무의 꿈', "사물의 꿈· 1", "한국 명시", p. 1799)  가지에 피는 꽃이란 꽃들은나무가 하는 사랑의 練習(연습) 떨어질 꽃들 떨어지고이..

바람(風)(4)

기압의 변화로 일어나는 대기의 흐름. 바람은 가변성과 역동적 속성으로 인해 인간의 존재성을 일깨워주는 촉매가 되는가 하면 자유와 방황을 상징하기도 한다. 한편 바람은 수난과 역경, 시련을 상징하기도 한다. 이와는 달리 바람은 어떤 대상이나 이성에 마음이 이끌려 들뜬 상태를 의미하기도 한다.  내 고향은 이북이지만꿈 속엔 길이 있어서 갈 수가 있읍니다.어릴 적 그때와 다름없이밝은 고향집엔 이남에서 돌아가신부모님이 살고 계십니다그래서 나는 이따금 이남에서 꾸는 꿈속의 길을 타고이북의 고향집을 찾아가서 부모님을 만나 뵈옵니다.한식날 밤이거나 추석날 밤이면 꼭 그러합니다.더러는 비 오는 밤이거나 눈 오는 밤에도 그러합니다.그런데 이 가을 찬 바람 부는 한 저녁에나는 문득 난감한 생각을 떠 올렸읍니다. 다름이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