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명시 689

하기와라 사쿠타로(萩原 朔太郎)

개구리의 죽음 개구리가 살해되었다 어린이들은 원을 이루고 손을 들었다 모두들 함께, 귀여운, 피투성이 손을 들었다, 달이 떠올랐다, 언덕 위에 사람이 서 있다, 모자 아래 얼굴이 있다. * * * * * * * * * * * * * * * 죄 없는 어린이들이 자기들의 놀이 친구인 죄 없는 개구리를 살해하고 말았다. 미워서 죽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만세를 부르고 있다. 이게 대체 어떻게 된 노릇인가. 세상에서는 이와 비슷한 참극이 행해지고 있다. 그것도 온화한 봄날 저녁에 그런 일이 행해진다. 그리고 그것을 보고서도 망연하게 서 있는 인간 - 자신도 그중 한 명이지만, 도대체 이게 어떻게 된 노릇인가. 인간의 원죄를 슬퍼할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 * * * * * * * * * * * * * * 하기..

팔레스타인:마흐무드 다르위시(Mahmoud Darwish)

희망에 대하여 나에게 그런 말은 하지 말라 ‘예멘의 목동이나 되어 부활을 노래했으면’ 나에게 그런 말은 하지 말라 ‘하바나의 급사나 되어 억압받는 사람들의 승리나 기원했으면’ 나에게 그런 말은 하지 말라 ‘아스완댐의 젊은 수문장이나 되어 바위를 위해 노래했으면’ 나의 친구여 나일강은 볼가강으로 흐르지는 않네 콩고강이나 요단강이 유프라테스강으로 흐르는 것도 아닐세 모든 강은 그 자신의 시원(始原)이 따로 있고 제 가는 길이 따로 있고 제 삶이 따로 있지. 우리의 조국은 친구여, 황폐한 나라가 아니라네. 때가 되면 모든 나라는 새로 태어나고 모든 전사(戰士)는 새벽을 맞이하게 되는 것이니. ​ * * * * * * * * * * * * * * * 마흐무드 다르위시(Mahmoud Darwish, 1941년 3..

칼 윌슨 베이커(Karle Wilson Baker)

시인의 노래 신의 날개에서 깃털을 떨어뜨렸다. 나의 작은 노래와 날치기는, 너무 가벼워서 그는 그들이 떨어지는 것을 듣지 않는다. 내가 발견한 하나님의 날개에서 깃털을 떨어뜨리고 내 머리를 땋았습니다. 사람들은 그것들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그들은 단지 내 영혼을 더 공평하게 만들 뿐이다. ​ * * * * * * * * * * * * * * Poet's Song Dropp’d feather from the wings of God My little songs and snatches are, So light He does not hear them fall As He goes by, from star to star. Dropp’d feathers from the wings of God I find, and..

팔레스타인:마흐무드 다르위시(Mahmoud Darwish)

신분증 적어둬라! 나는 아랍인 내 등록번호는 50000번이다 아이가 여덟이고 아홉 번째 아이가 올여름 태어난다 … 적어둬라! 나는 아랍인 내게 직함 따윈 없다 인내하라, 그곳 분노한 이들이 사는 곳에선. … 내게 증오는 없다 남의 권리를 앗을 마음도 없다 하지만 내가 굶주린다면 착취자의 살점이 내 밥이 되리라 조심하라 조심하라 내 굶주림을 내 분노를. ​ * * * * * * * * * * * * * * * 마흐무드 다르위시(Mahmoud Darwish, 1941년 3월 13일 ~ 2008년 8월 9일 향년 67세)는 팔레스타인의 시인이다. 다르위시는 1941년 팔레스타인의 한적한 갈릴리 호숫가의 작은 마을 아크레(Acre)에서 태어났다. 십 대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하여 1960년 첫 시집 를 펴낸 이..

칼 윌슨 베이커(Karle Wilson Baker)

나는 조용한 것들로 사랑받을 것이다 나는 조용한 것들로 사랑받을 것이다 - 햇볕에 흰 비둘기, 하나씩 속삭이는 곱슬곱슬 한 노란 잎사귀; 연기의 은빛 과묵함 탄생의 비밀을 알려주지 않는 불타는 고통 속에서 지구를 돌리는 것; 구름 섬; 나무의 팔에 도달; 닳고 간절한 작은달 그것은 높은 푸른 오후를 통해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길을 잃습니다. 내 마음의 천둥이 가야 한다 먼지의 숨 막히는 아래— 내 회색 드레스가 그것을 지키고 있는 것처럼 풀은 그래야 합니다. 그것은 충분히 크게 두들겨 맞았고, 모든 것이 말할 때, 내가 죽을 때 그 조용한 부분만 살 것입니다. ​ * * * * * * * * * * * * * * * 칼 윌슨 베이커(Karle Wilson Baker, 1878년 10월 13일 ~ 1960..

팔레스타인:마흐무드 다르위시(Mahmoud Darwish)

유랑이 없다면, 나는 누구인가? 강 언덕 위의 이방인, 강처럼 물은 너의 이름에 나를 묶는다. 그 무엇도 이 먼 곳으로부터 나를 오아시스로 돌려보내 주지 않는다. 평화도, 전쟁도 그 무엇도 내가 복음서로 들어가는 길을 허락하지 않는다. 그 무엇도, 그 무엇도 티그리스 강과 나일 강 사이의 썰물과 밀물의 해안에서는 빛나지 않는다. 그 무엇도 파라오의 전차에서 나를 내려주지 않는다. 그 무엇도 나를 돌봐주거나, 혹은 내게 생각을 품게 해 주지 않는다. 향수도, 전망도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유랑이 없다면, 그리고 강물을 응시하는 긴 밤이 없다면,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강물은 나를 너의 이름에 묶는다. 그 무엇도 꿈의 나비들로부터 나를 빼내지 못한다. 그 무엇도 나에게 현실을 주지 못한다. 먼지도 불도 ..

칼 윌슨 베이커(Karle Wilson Baker)

아름답게 나이 들게 하소서 아름답게 나이 들게 하소서 - 수많은 멋진 것들이 그러하듯이: 레이스와, 상아와, 황금, 그리고 비단도 꼭 새것만이 좋은 건 아니랍니다; 오래된 나무에 치유력이 있고, 오래된 거리에 영화(榮華)가 깃들듯; 이들처럼 저도 나이 들수록, 더욱 아름다워질 수 없나요 - ​ * * * * * * * * * * * * * * Let Me Grow Lovely Let me grow lovely, growing old - So many fine things do: Laces, and ivory, and gold, And silks need not be new; And there is healing in old trees, Old streets a glamour hold; Why may no..

마쓰오 바쇼(松尾芭蕉)

나비였네 꽃잎 하나가 떨어지네 어, 다시 올라가네 나비였네. ​ * * * * * * * * * * * * * * * 마쓰오 바쇼(松尾芭蕉, 1644년 ~ 1694년 11월 28일(음력 10월 12일)), 또는 마쓰오 주에몬 무네후사(松尾 忠右衛門 宗房)는 에도 막부 전기의 시인이다. 아명은 긴사쿠(金作). 그의 생애 동안 바쇼는 공동 하이카이노 렌가 양식에서 그의 작품을 인정받고 있었다. 오늘날, 그는 당시 시대에 홋쿠라 불린 하이쿠의 명인으로 꼽히고 있다. 마쓰오 바쇼의 시는 국제적으로도 명성이 있으며, 일본에서 그의 시 중 대다수는 기념물이나 역사적 장소에서 재생산되고 있었다. 바쇼는 그의 홋쿠로 서구에서 유명하지만, 그 자신은 그의 최고의 작품이 렌쿠에 참여하고 주도하는 것에 있다고 믿었다. 그는..

마쓰오 바쇼(松尾芭蕉)

벚꽃의 삶 너와 나의 삶 그 사이에 벚꽃의 삶이 있다. * ​ * * * * * * * * * * * * * * * 마쓰오 바쇼(松尾芭蕉, 1644년 ~ 1694년 11월 28일(음력 10월 12일)), 또는 마쓰오 주에몬 무네후사(松尾 忠右衛門 宗房)는 에도 막부 전기의 시인이다. 아명은 긴사쿠(金作). 바쇼는 1644년 일본 남동부 교토 인근에서 하급 무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의 이른 사망으로 집안이 몰락하자 바쇼는 요시타다라는 권력자의 시중을 드는 일을 하게 됐다. 요시타다는 하이쿠에 취미가 있었는데 바쇼는 이때 어깨너머로 하이쿠를 배우기 시작한다. 요시다타가 죽자 바쇼는 교토 생활을 접고 에도(도쿄)로 거처를 옮긴다. 도쿄 니혼바시에서 상점 직원으로 일할 무렵 그의 하이쿠 실력이 입소문으로 ..

마쓰오 바쇼(松尾芭蕉)

매미 허물 너무 울어서 텅 비어 버렸을까 저 매미 허물은. * 제목은 편의상 썼음. ​ * * * * * * * * * * * * * * * 하이쿠는 중세 이후 일본 문학을 대표하는 시 장르다. 일본어 기준으로 5·7·5의 음수율에 전체 17음절로 구성된 시다. 시 속에 계절을 나타내는 시어인 기고(季語)가 반드시 들어 있어야 한다. 하이쿠는 원래 장시의 앞부분을 칭하는 말이었다. 15세기에 유행하던 장시 하이카이렝카(俳諧連歌)의 첫 번째 구(句)를 홋쿠(發句)라고 했는데, 바쇼가 본격적으로 이 부분만을 따로 쓰기 시작했고 이것이 하이쿠의 전형이 된 것이라는 게 정설이다. 자수와 소재의 제약이 가혹하다 보니 하이쿠는 점점 고도의 상징성과 여운에 기대는 형태로 발전해 나갔다. 일본의 정형시 하이쿠가 세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