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밭 매는 아낙네야 베적삼이 흠뻑 젖는다"로 시작되는 대중가요 '칠갑산'의 가사 중, '아낙네야'를 '여편네야'로 바꾸면 이 노래의 맛은 어떻게 변할까?
'아낙네'나 '여편네'나 모두 '부녀자'를 가리키는 것 같지만 그 뜻은 사뭇 다르다.
'여편네'를 '결혼한 여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이라고 하면, '아낙네'는 '남의 집 부녀자를 통속적으로 이르는 말'이란 것이 『표준국어대사전』의 뜻풀이다.
'여편네'가 '여편'과 '네'로 분석되듯이 '아낙네'는 우선 '아낙'과 '네'로 분석될 수 있다.
'아낙네'와 거의 같은 뜻으로 '네'가 붙지 않은 '아낙'이 독립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아낙'은 더 이상 분석될 수 없을까?
'아낙'과 의미상 연관이 있는 '아내'가 원래 '안해'였고, 이것은 '안'과 '해'로 분석된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아낙'도 '안'과 '악'으로 분석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안'은 '안해'의 '안'이나 '안 사람'의 '안'처럼 '內'의 뜻을 가지며 동시에 여성을 상징하는 것이다.
그래서 '아낙'은 '안악'으로도 표기되었었다.
원래 '아낙'은 '사람'을 지칭하는 단어가 아니었다.
'아낙'이 생겨났을 때의 원래의 뜻은 『표준국어대사전』 등에 풀이되어 있듯이 '부녀자가 거처하는 곳을 이르는 말'이었다.
그러다가 그 장소에 거처하는 사람의 뜻을 갖게 되어 '안악'은 '장소'와 '사람'을 동시에 의미하기에 이르렀다.
'안'(內)에 접미사 '-악'이 붙어서 '안악'이 되었는데, 이때의 뜻은 '부녀자가 거처하는 조그마한 안뜰'이었다.
이것이 그곳에 사는 부녀자란 뜻으로 확대되어 같이 쓰이다가 장소를 뜻하는 '아낙'이 다른 단어로 대치된 뒤에 여기에 사람을 뜻하는 접미사 '-네'가 붙어 '안악네'가 된 것이다.
이것이 표기상으로 '아낙네'로 되어 오늘날에 이르렀다.
'아낙'과 아낙네'는 모두 19세기부터 그 자료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19세기에 생긴 단어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