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 일월(日月)
유 치 환
나의 가는 곳
어디나 백일(白日)이 없을쏘냐.
머언 미개(未開)적 유풍(遺風)을 그대로
성신(聖辰)과 더불어 잠자고,
비와 바람을 더불어 근심하고,
나의 생명과
생명에 속한 것을 열애(熱愛)하되,
삼가 애련(哀憐)에 빠지지 않음은
--- 그는 치욕임일레라.
나의 원수와
원수에게 아첨하는 자에겐
가장 옳은 증오를 예비하였나니,
마지막 우러른 태양이
두 동공(瞳孔)에 해바라기처럼 박힌 채로
내 어느 불의(不意)에 짐승처럼 무찔리기로
오오, 나의 세상의 거룩한 일월(日月)에
또한 무슨 회한(悔限)인들 남길쏘냐.
<문장> 3호(1939.4)
1.나의 생각은 이렇습니다.
2.이 시는 어떤 상황을 노래한 것인지 상상하여 한 편의 이야기로 꾸며 봅시다.
이 부분에서 자신의 말을 듣자. “가증한 원수인 일제 앞에서 자기를 노예로 자인하고 그들에게 아유구용(阿諛苟容:알랑거리며 구차스럽게 행동함)하는 길... ... 나는 비굴하게도 이 길을 택한 것이었으며 그럼년서도 그 비굴한 후자의 길에서나마 나대로의 인생을 가망없이 헛되이 버리지 않으려고... ...”
3.이 시는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이 시는 평론가로부터 ‘대가적 풍격(大家的風格)’을 가진 시로 평가되었다. 우주와의 교감, 생명에의 열애, 애련을 치욕으로 여기는 비정의 태도에 기인한 것이다. 이 비정의 태도는 생의 초극이라는 문제로 요약할 수 있다. 이미 우리는 청마의 시가 생의 양면성 혹은 생의 모순성에 대하여 깨달음과 탄식에 기초를 두고 있음을 알고 있다. 따라서 이 시는 생의 모순성을 인정하고 그것에 대한 초극을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요하게 등장하는 ‘원수’는 생의 원상으로서의 모순과 부조리는 물론 인간의 인간다운 삶을 저해하는 모든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이 시는 강인하고 웅건한 생명의지와 불의에 타협하지 않으려는 준열한 정신 이 대륙적인 남성적 어조로 잘 형상화되어 있는 시이다. 1연에서는 광명의 세게를 지향하기 위한 망명의 결행이 나타났다. 족을 등지고 망명의 길을 떠나는 것은 진실과 자유가 있는 광명의 세계를 찾아가기 위한 것이다. 2연에서는 하늘을 지붕으로 삼고 별을 쳐다보며 살던 미개의 풍습대로 살아갈 각오를 함으로써 원시적 생명력의 회복을 드러낸다. 3연에서는 인간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인식이 드러나 있다. 4연에는 애련을 경계하는 다짐이 있다. 애련은 약한 존재를 사랑하고 가엾이 여기는 마음으로, 비정하고 강한 의지를 발휘하는 데 장애요소가 되기 때문에 경계해야 할 감정이다. 내가 연민에 빠지게 되면 상대적으로 나의 원수가 강해져 내가 원수에게 굴욕을 당할 수밖에 없게 된다. 5연에는 원수에 대한 증오가 나타나 있다.‘ 나의 원수’는 앞에서도 말했지만 시대와 상황에 따라 물질주의, 불합리한 제도, 불의, 악덕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다. 혹자는 이를 일제라고 보기도 한다. 그러니 그를 증오하는 것은 가장 옳은 행위이다. 6,7연에는 원수와 원수에게 아첨하는 자들에 대한 증오로 말미암아 어떠한 고난을 격고 어떠한 불행을 당하더라도 뉘우치고 한탄하지 않겠다는 비장한 결의가 드러나 있다. 죽음에 직면해서도 소신을 굽히지 않겠다는 비장한 결의, 자신의 삶에 대한 떳떳한 자신감 등이 선명하게 드러나 있다.
4.구성
광명한 세계에 대한 지향(1연)
조국과 민족에 대한 열렬한 사랑(2-4연)
부정한 세력에 대한 증오(5연)
비장한 결의 혹은 대결정신(6,7연)
5.이 시의 핵심적 요소는 무엇이라고 보아야 하는가.
정의에 대한 결단이다. 4연에서 원수와 원수에게 아첨하는 자에게 증오를 준비하였다는 것은 이 시가 1939년 <문장>에 발표된 사실과 관련지어 보면 시인의 정의에 대한 각오와 현실에 대한 정당한 인식이 돋보인다. 암흑기에 이렇게 강렬한 정신을 노래하였다는 것으로 이 시는 가치를 지닌다.
6.주제
불의에 대한 강렬한 증오심
7.지은이 소개
8.생각해 봅시다.
(1) 이 시에서 ‘백일(白日)이 암시하는 바는 무엇인가.
* 1연에 나온 이 시를 이끌어가는 전제가 된다. 어디에나 백일이 있다는 믿음은 진리에 대한 믿음이며 밝고 아름다운 세상에 대한 믿음이라고 하겠다.
(2) 시인의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과 삶에 대한 곧은 의지가 두드러진 부분을 찾아보자.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은 4연에서 두드러진다. 원수와 원수에 아첨하는 무리들에 대한 증오는 일제 현실에 대한 철저한 인식을 보여준다. 삶에 대한 곧은 의지는 3연과 5연에 나타난다. 애련에 빠지지 않고자 하는 생명에 대한 강렬한 사랑, 그리고 죽음을 불사하는 정의에 대한 믿음이 형상화되었다.
9.이 시는 어떤 작품과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을까요.
이 시는 「바위」, 「생명의 서」, 「해바라기 밭으로 가려오」, 「원수」 등과 함께 청마 유치환의 생명 의식을 준열하게 토로하고 있으며, ‘증오’의 의지와 ‘애련’의 정감이 대립하는 구조도 그들 시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