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아침저녁으로 잊지 말아야 할 것이 바로 '양치질'인데요.
오늘은 이 '양치질'의 어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언뜻 들어서 많은 분들이 한자어로 짐작을 하고 계십니다.
혹시 여러분 중에 '양치질'의 '양치'를 '양치'(기를 養, 이 齒)나 '양치'(어질 良, 이 齒)로 알고 있진 않으십니까?(간혹 '양치질'의 '치'를 '치'(이 齒)로 써 놓은 사전도 보입니다만, 이 사전은 잘못된 것입니다.)
그러나 '양치질'의 '양치'는 엉뚱하게도 '양지질' 즉 버드나무 가지란 의미의 '양지'에 접미사인 '질'이 붙어서 이루어진 단어라고 한다면 믿으시겠습니까?
그러나 실제로 그렇습니다.
고려 시대의 문헌(예컨대 {계림유사})에도 '양지'(버들 楊, 가지 支)로 나타나고 그 이후의 한글 문헌에서도 '양지질'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칫솔이 없던 옛날에는 '양지' 즉 '버드나무 가지'로 '이'를 청소하는 것이 '이'를 청소하는 방법이었다고 합니다.
오늘날 '이쑤시개'를 쓰듯이, 소독이 된다고 하는 버드나무 가지를 잘게 잘라 사용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이'를 청소하는 것을 '양지질'이라고 했던 것인데, 이에 대한 어원 의식이 점차로 희박해져 가면서 이것을 '이'의 한자인 '치'에 연결시켜서 '양치'로 해석하여 '양치질'로 변한 것입니다.
19세기에 와서 이러한 변화를 겪은 것이죠.
이 '양지'는 또 일본으로 넘어가서는 일본 음인 '요지'로 변했습니다.
'이쑤시개'를 일본어로 '요지'라고 하지요?
아직도 '이쑤시개'를 '요지'라고 하는 분들이 계신데 이는 분명 일본말입니다.
'양지질'에 쓰이는 치약으로는 보통 '소금'이나 '초'를 사용하여 왔는데요.
이렇게 '양지질'이 '양치질'로 변화하는 현상을 언어학에서는 보통 '민간 어원설'이라고 합니다.
즉 민간에서 어원을 마음대로 해석해서 원래의 단어를 해석하거나, 그 해석된 대로 단어를 고쳐나가곤 합니다.
이렇게 민간에서 잘못 해석한 단어는 무척 많습니다.
여러분들이 잘 아시는 '행주치마'가 그렇지요.
원래 '행주'는 '삼'으로 된 것인데 물기를 잘 빨아들이는 천을 일컫는 단어입니다.
이것을 권율 장군의 '행주산성 대첩'과 연관시켜서, 부녀자들이 '치마'로 돌을 날랐기 때문에 그 치마를 '행주치마'라고 한다는 설이 있지만, 그것은 민간에서 만들어낸 단어입니다.
이처럼 민간에서 민간으로 거쳐 내려오는 동안 우리의 말과 글은 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