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명시/북유럽

노르웨이:헨리크 요한 입센(Henrik Johan Ibsen)

높은바위 2023. 3. 28. 07:23

 

솔베이지의 노래

 

그 겨울이 지나 봄은 가고

또 그렇게 봄은 가고

다시 여름날이 가면

그렇게 세월이 가네

세월이 흘러가네

나에게 돌아와요

당신은 내 사랑 당신은 내 사랑

당신을 애달프게 기다리는 나의 맹세

아 아 ~~~~

신이시여, 내님을 도와주소서,

태양을 볼 수 있을 때

태양을 볼 수 있을 때,

신이시여, 내님에게 은총을 베푸소서

내님은 무릎을 꿇고 빌고 있나이다

무릎을 꿇고 비나이다

아, 나는 내님를 기다립니다

내님이 내 곁에 오실 때까지

내 곁에 오실 때까지,

그리고, 당신이 천상에서 날 기다리신다면

우리는 그곳에서 만나리

그곳에서 우리는 만나리

아 아 아 ~~~~

 

​ * * * * * * * * * * * * * *  

 

* 노르웨이의 극작가 헨릭 입센의 위촉으로 작곡한 그리그 불후의 명작인 '페르 귄트'.

*줄거리 : 부농의 외아들로 태어났으나 몰락한 주인공 페르 귄트는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 어머니 오제와 함께 가난한 생활을 한다.

그는 허황된 꿈을 꾸는 몽상가이자 방탕한 성격의 소유자였다.

돈과 모험을 찾아 세상을 여행하면서 남의 부인을 탐하기도 하고, 험준한 산에서 마왕의 딸과 같이 지내기도 한다.

농부의 딸인 솔베이지를 만나 사랑을 맹세하지만, 그녀를 두고 늙은 어머니에게 돌아간다.

그리고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다시 먼바다로 떠난다.

아프리카에선 추장의 딸과 사랑을 나누는 등 유랑의 모험을 하던 그는 끝내 몰락한 채 비참하고 노쇠한 모습으로 고향에 돌아오자 고향의 오두막엔 솔베이지가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백발이 된 그는 사랑하는 여인의 품에 안겨 죽음을 맞이하게 되고 솔베이지도 노래를 부르면서 그를 따라간다.

 

 * * * * * * * * * * * * * *  

 

헨리크 요한 입센(Henrik Johan Ibsen, 1828년 3월 20일 ~ 1906년 5월 23일)은 노르웨이의 극작가이자 시인이다.

헨리크 입센은 흔히 ‘사회문제극’의 극작가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가 남긴 작품의 스펙트럼은 매우 광범하다.

입센은 1850년 필명으로 발표된 <카틸리나>로써 극작가로 데뷔했으며 ‘3막의 극적 에필로그’라는 부제가 붙은 <우리 죽어 깨어날 때>(1899)까지 반세기에 걸쳐 1편의 단막극을 포함하여 모두 25편의 희곡을 썼다.

그의 극작품들은 초기의 민족적 낭만주의극, <인형의 집>(1879)으로 대표되는 사회문제극, <들오리>(1884)로부터 시작되는 인간의 영혼 깊은 곳을 탐색하는 상징주의극으로 굳이 범주화할 수 있겠다.



민족적 낭만주의에 싸여있던 입센은 음습하고 편협한 고국을 떠나 자의적 망명으로 1864년부터 27년간 이탈리아와 독일에 머물렀다.

그 기간 동안 입센은 비로소 노르웨이의 지방성을 극복했고 유럽은 물론 세계적인 작가로 성장했다.

고국을 멀리서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었기 때문에 입센은 본격적으로 ‘명제극의 창시자’, ‘사회변혁의 옹호자’, ‘삶의 위선에 반대하는 투쟁자’, ‘천박한 소시민적 삶의 투쟁자’가 될 수 있었다.



입센의 대표작들로는 <페르 귄트>(1867), <인형의 집>, <유령>(1881), <민중의 적>(1882) 등이 거명되고 있으나 어느 작품에서든 한 개인의 자유와 그에 따른 책임, 삶에서의 모토와 원칙을 고수하려는 치열한 투쟁을 읽어낼 수 있다.

희곡은 물론 매우 많은 시를 썼고, 화가이기도 했던 입센은 자신이 정력적으로 활동하던 때의 조국이 스웨덴의 지배하에 있었고 민도가 낮았기 때문에 신이 자신에게 부과한 소명이 “바로 민중을 일깨우고 크게 생각하도록 가르치는 것”이라 굳게 믿었고 그 소명을 실천하기 위해 작가로서 평생 투쟁했다.

입센은 현재 세계 GDP 5위 안에 드는 부국(富國) 노르웨이가 가장 자랑하는 시인이며 노르웨이의 수도 오슬로는 그야말로 입센의 도시로 잘 가꾸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