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신 손님 매력 주고, 가신 손님 미련 주자."
"가는 님은 밉상이요, 오는 님은 곱상이다."
'-님'은 '직책이나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 또는 성인의 이름 뒤에 붙어, 존경의 뜻을 더하여 명사를 만드는 말',
'어떤 대상을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어, 이를 인격화하여 높이거나 다정스럽게 일컫는 뜻을 더하여 명사를 만드는 말'이다.
우리는 상대방을 높여 부를 때, 접미사 '-님'을 붙인다.
그 옛날 형태인 '니마'는 태양신으로, '니+-마> 니마'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는 '고마'는 물과 땅의 신으로서 생산을 맡는다.
'니마'는 단군의 아버지 신에, '고마'는 어머니 신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임'은 따지고 보면 태양신 곧 광명의 신으로 숭앙(崇仰)되었으며, 따라서 '-님'이라고 부르는 우리 언어 관습의 밑바탕에는, 상대방을 태양신과 같은 존재로 본다는 의식이 있으니, 참으로 인본주의의 드러냄이 아닐 수 없다.
'니마'는 태양신을 뜻하는 말에서 제사를 지내는 군왕을 뜻하는 말로, 다시 상대방을 높이는 접미사로 쓰였다가 현재의 형태로 자리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