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명시/영국

T·S·엘리어트

높은바위 2015. 4. 19. 10:18

 

 

    Ⅰ. 사자(死者)의 매장(The Burial of the Dead)

 

사월은 가장 잔인한 달, 라일락꽃을

죽은 땅에서 피우며, 추억과 욕망을 뒤섞고,

봄비로 활기없는 뿌리를 일깨운다.

겨울이 오히려 우리를 따뜻이 해주었다,

대지를 망각의 눈으로 덮고, 마른 구근을 가진

작은 생명을 길러 주며

여름이 우리를 급습해왔다, 시타른베르게르제호를 넘어

소낙비를 가져와 우리는 회랑에 머물렀다가

햇볕이 나자 호프카르텐으로 가서

커피를 마시며 한 시간이나 이야기했지.

나는 러시아인이 아니고, 리투아니아 출신 순수한 독일인이에요.

어릴적 내가 사촌 대공(大公) 집에

머물렀을 때 사촌이 날 썰매에 태워줬었는데

나는 겁이 났어요. 마리, 사촌이 소리쳤죠,

마리, 꼭 붙들어. 그리곤 미끄러져 내려갔어요.

산에선 자유로운 느낌이 들어요.

나는 밤엔 대개 책을 읽고, 겨울엔 남쪽으로 가요.

 

이 움켜잡는 뿌리는 무엇이며, 무슨 가지가

이 돌투성이 쓰레기 속에서 자라나는가?

인간의 아들아,

너는 말도 추측도 할 수도 없다, 왜냐하면 너는 다만

부서진 우상더미만 알기 때문에, 거기엔 해가 내리쬐고,

죽은 나무는 아무런 피난처도, 귀뚜라미는 아무런 위안도

주지 않고, 메마른 들엔 물소리도 없다. 다만

이 붉은 바위 밑에 그늘이 있다.

(이 붉은 바위 그늘 밑으로 들어오라)

그럼 나는 아침에 너의 등 뒤에 성큼성큼 걸어오는

네 그림자나, 저녁때 너를 마중 나오는 그림자와도 다른

그 무엇을 보여 주리라.

나는 너에게 한줌의 재속에서 공포를 보여주리라.

바람은 선선히

고향으로 부는데

아일랜드의 우리 님은

어디 있느뇨?

"일 년 전 처음으로 당신이 내게 히아신스를 줬기에,

사람들이 날 히아신스 소녀라 불렀어요."

그러나 네가 팔에 꽃을 한아름 안고, 늦게,

머리칼이 젖은 채, 같이 히아신스 정원에서 돌아왔을 때, 나는

말할 수도 없고 눈은 안 보여, 나는

산 것도 죽은 것도 아니고, 아무것도 모르고

다만 빛의 핵심, 정적을 들여다보았다.

바다는 황량하고 쓸쓸하구나.

 

유명한 천리안 소소스트리스 부인은

심한 감기에 걸렸는데도 그래도

사악한 트럼프 한 벌을 가진

유럽 제일가는 여자 점쟁이로 알려져 있다.

그녀가 말했다, 여기

당신 카드가 있어요, 익사한 페니키아 수부예요,

(그의 눈은 진주로 변했어요. 보세요!)

이건 벨라돈나, 암석의 부인,

부정한 여인이에요.

이건 세 갈래 지팡이를 가진 남자, 그리고 이건 바퀴,

이건 눈이 하나인 상인, 그리고 아무것도 안 그려진

이 카드는 이 상인이 등 뒤에 짊어진

무엇인데 내가 못 보게 되어 있어.

그 교살된 남자를 못 찾겠는데요. 익사를 조심하세요.

사람들이 원을 그리며 돌아가는 것이 내게 보여요.

감사해요. 혹시 에퀴튼 부인을 만나시거든

천궁도를 내가 직접 가져간다고 말해 주세요.

요즘은 무척 조심 않으면 안돼요.

 

유령 같은 도시,

겨울 새벽 갈색 안개 속을

런던 브리지 위로 사람들이 흘러갔다. 이렇게 많이,

그처럼 많은 사람을 죽음이 파멸시켰으리라 나는

결코 생각 못했다.

짧은 한숨을 이따금 내쉬며

각자 자기 발 앞을 주시하면서.

언덕을 올라가서 킹 윌리엄 가로 내려가

성 메어리 울노드 교회가 죽은 소리로 아홉 시의

마지막 일타를 울려 시간을 알리는 곳으로.

거기서 나는 친구를 하나 발견하곤 "스텟슨!"

하고 소리쳐 그를 멈추게 했다.

자네 밀라에 해전 때 나하고 같은 배에 타고 있었지!

작년 자네가 정원에 심었던 그 시체가

싹이 트기 시작했나? 올해에는 꽃이 필까?

혹은 갑작스런 서리가 묘목을 망쳤나?

오 인간에게 친구인 <개>를 멀리 하게,

그렇잖으면 그놈이 발톱으로 다시 파헤칠 거야!

그대! 원시적 독자여!— 나의 동포—나의 형제여!

 

 

 

* 토머스 스턴스 엘리어트(Thomas Stearns Eliot : 1888-1965)의 <황무지(荒蕪地, The Waste Land)>는 제 1차 세계 대전 후의 유럽의 황폐를 유럽 사람의 정신적인 황폐에 의해서 조명하려 하는 강렬한 이미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죽은 자의 시체에서 어떤 문명의 싹이 트기 시작하고, 어떤 꽃이 필 것인지는 유럽문명의 과거의 전통을 지켜보고 절망하면서, 움직이는 인간들의 회화나 유희 또는 비즈니스나 전설 그리고 미신을 주의 깊게 관찰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엘리어트는 이 <황무지> 안에서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엘리어트는 20세기 전반의 영·미시의 방향을 결정적인 것으로 만든 시인·극작가·비평가이다.

미국 미주리 주의 센트루이스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등의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였다.

학생 시절부터 전통적인 시를 썼으나 아더 시먼즈의 <문학에서의 상징주의 운동>(1892)을 읽고, 프랑스의 상징파 시인들, 특히 베를렌, 라포르그, 콜비에르 등을 알게 되었고, 또한 단테, 보들레르, 던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그때까지의 취향을 뒤집는 듯한 혁신적인 시를 발표하게 되었다.

1911년에 <J.알프레드 프루프로그의 연가>로 충격적인 등장을 한 이래로 계속 제일선에 서서, 그의 발언은 끊임없는 문제를 던지면서 거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그는 그리스도 교회가 힘을 지니는 이상 사회를 꿈꾸면서 <황무지>(1922)에서 현대의 지옥을 펼쳐 보였다.

런던에 정주하면서 작업을 해 온 이 미국의 시인은 1928년에 영국에 귀화하여 “종교에 있어서는 영국국교회, 정치에 있어서는 왕당파, 문학에 있어서는 고전파”라는 유명한 선언을 피력하였다.

우리는 그의 시를 가리켜 주지시(主知詩)란 말로 표현한다.

 

April / Deep pur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