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아시(驕兒詩) 개구쟁이의 노래
袞師我驕兒(곤사아교아) 곤사(袞師)는 우리 집 개구쟁이 녀석
美秀乃無匹(미수내무필) 예쁘고 똑똑하기 짝이 없구나.
文葆未周晬(문보미주수) 배두렁이 차고 돌도 안 되었을 때,
固已知六七(고이지육칠) 이미 여섯하고 일곱도 알았다네.
四歲知名姓(사세지명성) 네 살 때는 이름을 알았고,
眼不視梨栗(안불시이율) 눈은 배와 밤은 쳐다보지도 않았다.
交朋頗窺觀(교붕파규관) 친구들도 한참 들여다보더니,
謂是丹穴物(위시단혈물) “이 아이는 단혈(丹穴)의 봉황이구나.
前朝尙器貌(전조상기모) 재기와 용모를 숭상한 옛날이라면,
流品方第一(유품방제일) 유품(流品)이 그냥 제일품일 거요.”
不然神仙姿(부연신선자) “아닐세, 신선의 자질일세.”
不爾燕鶴骨(부이연학골) “아니야, 귀인의 풍골이구만.”
安得此相謂(안득차상위) 어찌 이처럼 다투어 말할까?
欲慰衰朽質(욕위쇠후질) 늙고 병든 나를 위로하는 것이겠지!
靑春姸和月(청춘연화월) 새봄의 화창한 계절에,
朋戱渾甥侄(붕희혼생질) 놀이 동무는 모두가 사촌들.
繞堂復穿林(요당부천림) 집을 돌고 또 수풀로 내달아,
沸若金鼎溢(비약금정일) 솥의 물이 끓듯 왁자지껄하네.
門有長者來(문유장자내) 대문에 점잖은 어른이 오시면,
造次請先出(조차청선출) 아차 할 사이에 먼저 뛰어 나간다.
客前問所須(객전문소수) 손님이 문 앞에서 무얼 갖고 싶냐 물으면,
含意不吐實(함의불토실) 생각은 간절하나 말은 못한다.
歸來學客面(귀내학객면) 손님이 돌아가면 손님 얼굴 흉내 내고,
䦱敗秉爺笏(위패병야홀) 문 열어놓고 아비의 홀을 집어 든다.
或謔張飛胡(혹학장비호) 장비(張飛)같은 수염이라 놀리고,
或笑鄧艾吃(혹소등애흘) 등애(鄧艾)처럼 더듬는다고 웃는다.
豪鷹毛崱屴(호응모즉력) 날랜 매의 깃털처럼 쭈뼛하게,
猛馬氣佶傈(맹마기길률) 굳센 말의 기운처럼 헌걸차게,
截得靑篔簹(절득청운당) 푸른 왕대를 꺾어서,
騎走恣唐突(기주자당돌) 말 타고 마구 덤빈다.
忽復學參軍(홀복학참군) 갑자기 또 참군(參軍)을 흉내 내어,
按聲喚蒼鶻(안성환창골) 목소리를 꾸며서 또 창골을 부른다.
又復紗燈旁(우부사등방) 다시 또 사등롱 곁에서,
稽首禮夜佛(계수례야불) 머리를 조아리며 밤 예불을 올린다.
仰鞭罥蛛網(앙편견주망) 채찍을 들어 올려 거미줄을 걸고,
俯首飮花蜜(부수음화밀) 머리를 숙여 꽃의 꿀을 빨아먹네.
欲爭蛺蝶輕(욕쟁협접경) 가벼운 호랑나비와 경주하고,
未謝柳絮疾(미사류서질) 재빠른 버들 솜에 안 뒤진다.
階前逢阿姉(계전봉하자) 섬돌 앞에서 어떤 누나 만나,
六甲頗輸失(륙갑파수실) 쌍륙치더니 꽤나 많이 잃은 모양.
凝走弄香奩(응주농향렴) 몰래 가서 화장대 만지며 놀고,
拔脫金屈戌(발탈금굴술) 황금 문고리를 잡아 떼어낸다.
抱持多反倒(포지다반도) 끌어안으면 여러 번 몸을 뒤채고,
威怒不可律(위노부가률) 위협하고 성내어도 막무가내다.
曲躬牽窓網(곡궁견창망) 몸을 굽혀 창의 그물을 잡아당기고,
衉唾拭琴漆(객타식금칠) 침을 뱉어 거문고의 칠을 닦아본다.
有時看臨書(유시간림서) 어떤 때 붓글씨 쓰는 곁에 오면,
挺立不動膝(정립부동슬) 꼿꼿이 서서 무릎도 안 움직인다.
古錦請裁衣(고금청재의) 장정(裝幀)의 비단옷으로 옷을 만들자 하고,
玉軸亦欲乞(옥축역욕걸) 두루마리의 옥도 갖고 싶다고 한다.
請爺書春勝(청야서춘승) 아비더러 춘승(春勝)을 써달라고 조른다.
春勝宜春日(춘승의춘일) 춘승은 봄날에 좋다고 하면서.
芭蕉斜卷箋(파초사권전) 파초 잎은 종이처럼 말리고,
辛夷低過筆(신이저과필) 목련 꽃봉오리는 붓처럼 내밀었구나.
爺昔好讀書(야석호독서) 아비는 옛날에 글공부를 좋아하여,
懇苦自著述(간고자저술) 고생하여 스스로 저술에 힘을 썼단다.
顦顇欲四十(초췌욕사십) 초췌(憔悴)한 가운데 마흔을 바라보는데,
無肉畏蚤蝨(무육외조슬) 이와 벼룩을 겁낼 살도 없단다.
兒愼勿學爺(아신물학야) 얘야, 제발 이 아비를 흉내 내어,
讀書求甲乙(독서구갑을) 글공부로 과거 볼 생각은 말아라.
穰苴司馬法(양저사마법) 양저(穰苴)가 전했다는 사마법(司馬法)이나,
張良黃石術(장량황석술) 장량(張良)이 배웠다는 황석술(黃石術)이면,
便爲帝王師(변위제왕사) 임금의 스승도 될 수 있단다.
不假更纖悉(부가갱섬실) 자질구레한 것은 몰라도 된단다.
況今西與北(황금서여북) 더구나 지금은 서쪽과 북쪽에서,
羌戎正狂悖(강융정광패) 오랑캐가 마구 창궐하였다.
誅赦兩未成(주사량미성) 전쟁도 평화도 모두 이루지 못하고,
將養如痼疾(장양여고질) 고질처럼 키워가기만 한단다.
兒當速成大(아당속성대) 얘야, 하루 빨리 크게 자라나,
探雛入虎窟(탐추입호혈) 호랑이 새끼 찾아 굴로 들어가라.
當爲萬戶侯(당위만호후) 마땅히 만호(萬戶) 벼슬을 할 것이지,
勿守一經袠(물수일경질) 하나의 경전(經典)만 지키고 있지 말아라.
* 이상은(李商隱)의 시(詩)는 전고(典故)의 인용이 많다.
이 <교아시(驕兒詩)>는 진(晉)나라 도연명(陶淵明)의 <책자시(責子詩)>를 염두에 두고 지은 듯하다.
똥 누러 뒷간에 가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