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릉행(舂陵行)1) 용릉 노래
军国多所需(군국다소수) 전쟁하는 나라에는 세금도 많은데,
切责在有司(절책재유사) 절실한 책임은 관리에게 지워지니,
有司临郡县(유사임군현) 관리는 고을에 임하여,
刑法竞欲施(형법경욕시) 다투어 법과 처벌을 시행하게 된다.
供给岂不忧(공급기불우) 세금 바치기 근심되지 않을까만,
征敛又可悲(정렴우가비) 세금 거두기 또한 비참하구나.
州小经乱亡(주소경란망) 작은 고을이 난리를 겪어,
遗人实困疲(유인실곤피) 살아남은 사람도 실로 고달프다.
大乡无十家(대향무십가) 큰 마을에 열 집도 없고,
大族命单赢(대족명단영) 큰 집안조차 외로운 형편.
朝餐是草根(조찬시초근) 아침에는 풀뿌리 씹으며,
暮食仍木皮(모식잉목피) 저녁에는 나무껍질 먹는다.
出言气欲绝(출언기욕절) 말을 하자니 숨이 끊어질듯,
意速行步迟(의속행보지) 마음은 바빠도 걸음이 더디다.
追呼尚不忍(추호상불인) 재촉하기도 차마 안타까운데,
况乃鞭扑之(황내편복지) 더구나 이들을 채찍해야 한다.
邮亭传急符(우정전급부) 파발말이 전하는 다급한 명령,
来往迹相追(래왕적상추) 뒤축을 밟으며 오고 간다.
更无宽大恩(경무관대은) 도무지 관대한 은혜란 없고,
但有迫促期(단유박촉기) 다만 기일을 재촉할 뿐이다.
欲令鬻儿女(욕령죽아녀) 아들 딸을 팔게 할까?
言发恐乱随(언발공란수) 그러면 난동이 일어나겠구나.
悉使索其家(실사색기가) 집안을 샅샅이 뒤지게 할까?
而又无生资(이우무생자) 그런데 살아나갈 양식도 없도다.
听彼道路言(청피도로언) 저 길거리의 말을 들어보아라.
怨伤谁复知(원상수복지) 원망과 한탄을 누가 알겠나?
去冬山贼来(거동산적래) 지난 겨울에 산적이 와서,
杀夺几无遗(살탈궤무유) 죽이고 빼앗아 남은 게 없다.
所愿见王官(소원견왕관) 높으신 나리가 우리를 위무하고,
抚养以惠慈(무양이혜자) 은혜를 베풀어주길 바랬건만.
奈何重驱逐(내하중구축) 어찌하여 거듭 몰아치면서,
不使存活为(불사존활위) 목숨을 잇게도 아니하는가?
安人天子命(안인천자명) 백성을 편안케 함이 천자의 사명인데,
符節我所持(부절아소지) 부절은2) 내가 가졌네.
州縣忽亂亡(주현홀난망) 고을이 문득 어지럽게 되면,
得罪復是誰(득죄부시수) 그 죄를 져야 할 사람 그 누구이겠는가?
逋缓违诏令(포완위조령) 연기시키는 것은 명령에 어긋나니,
蒙责固其宜(몽책고기의) 책망을 들어도 마땅한 일이다.
前贤重守分(전현중수분) 옛사람이 일렀으되, 분수를 지키어
恶以祸福移(악이화복이) 화복에 마음이 변하지 말라고,
亦云贵守官(역운귀수관) 다시 일렀으되, 관직을 지키어
不爱能适时(불애능괄시) 세상사에 마음이 동하지 말라고.
顾惟孱弱者(고유잔약자) 약한 자를 돕는 것만이,
正直当不亏(정직당불휴) 올바른 나의 본분이다.
何人采国风(하인채국풍) 누가 국풍을 채집하는가?3)
吾欲献此辞(오욕헌차사) 나는 이 말씀을 바치고 싶다.
--------------------------------------------------------------------------------------
1) 용릉행(舂陵行) : 미상. 行=악부체(樂府體)의 시.
2) 부절(符節) : 사신(使臣)이 신표(信標)로 가지던 옥이나 대나무로 만든 부신(符信).
이를 둘로 갈라 하나는 조정에 보관하고 하나는 본인이 가졌음.〈주례 장절(周禮 掌節)>
3) 국풍(国风) : 지방의 민중이 읊은 시가, 민요.
<시경(詩經)>의 국풍(國風)에서 나온 것임.
* 원결(元結 : 723 ~ 772)은 성당(盛唐)의 시인으로, 자는 차산(次山)이다.
호북성 무창(武昌, 현재 무한시武漢市) 사람으로, 현종 천보(玄宗 天寶) 때 진사(進士)에 급제하여 용찬경략사(容贊經畧使)를 역임했으며 여러 별호(別號)가 있다.
그의 시재(詩才)는 두보에 미치지 못했으나, 민중의 편에 서서 사회의 모순을 고발한 시의 정신에서는 그와 같은 길을 걸은 시인이다.
두 사람은 비록 직접 사귄 적은 없었던 듯하지만 두보는 그의 시를 읽고 크게 감탄하고 회답하는 시, 동원사군용릉행(同元使君舂陵行 : 원 사군의 용릉행에 뜻을 같이하며)을 지었다.
세속의 부박(浮薄, 천박하고 경솔함)한 시를 싫어하여 옛 시풍을 모범으로 했고, 산문도 대구(對句)의 아름답고 화려한 문체를 배척했다.
작품으로 ‘대당중흥송(大唐中興頌)’이 유명하고, 저서에 ‘협중집(篋中集)’, ‘차산집(次山集)’ 등이 있다.
봉건 군주의 나라에서는 임금이 직접 나라를 다스려야 하는 것이지만, 넓은 국토를 혼자서 맡을 수 없으므로 벼슬아치를 임명해 임금을 대신해서 그 지방을 통치하도록 위임한다.
임금은 백성들이 편안히 살아가도록 하는 것이 사명인데, 실제로 고을을 다스리는 사람은 고을원이니 고을의 일이 잘못되면 그 책임은 당연히 고을원이 져야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임금에게서 그 고을을 잘 다스리도록 위임받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삼단논법(三段論法) 같은 시의 전개이다.
5언고시(5言古詩)로서, 압운은 持, 誰 자로 평성 ‘지(支)’ 평운이다.
평측은 차례로 ‘平平平仄仄, 平仄仄仄平, 平仄仄仄平, 仄仄仄仄平’으로 이사부동(二四不同)은 첫 구만 지켜졌고, 반법(反法)이나 점법(粘法)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평측이 고르지 못해 고시로 보았다.
(한시작가작품사전, 국학자료원 참조)
삼국지 - 영웅의 여명 (三國志之英雄的黎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