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명시/중국

두보(杜甫)

높은바위 2015. 7. 15. 20:27

 

                  무가별(無家別)1)  살림살이를 이루지 못한 이별

 

寂寞天寶後(적막천보후)                      적막하다, 천보(天寶)의 뒷날,2)

園廬但蒿黎(원려단호려)                      마을은 쑥밭 되고,

我里百餘家(아리백여가)                      백여 호나 되던 동네 집들은,

世亂各東西(세란각동서)                      동서로 뿔뿔이 흩어져 버렸네.

 

存者無消息(존자무소식)                      산 사람도 있으련만 소식이 없고,

死者爲塵泥(사자위진니)                      죽은 이는 이미 흙 되었으리.

賤者因陣敗(천자인진패)                      천한 나는 전쟁에 지는 바람에,

歸來尋舊蹊(귀래심구혜)                      예전의 작은 길로 오게 되었네.

 

久行見空巷(구행견공항)                      오랜만에 걷는 황량한 길에,

日瘦氣慘悽(일수기참처)                      해는 파리하여 슬픔이 감돌고,

但對狐與狸(단대호여리)                      다만 여우와 삵만이,

揷毛怒我啼(수모노아제)                      나를 보고 털 세워 으르렁대네.

 

四隣何所有(사린하소유)                      이웃에 친한 이들 어디로 가고,

一二老寡妻(일이노과처)                      늙은 과부만 한두 사람뿐!

宿鳥戀本至(숙조연본지)                      새도 잘 때에는 옛 가지 그리는데,

安辭且窮棲(안사차궁서)                      내 어찌 누추한 곳이라고 마다할까?

 

方春獨荷鋤(방춘독하서)                      봄철이니 혼자 김을 매고,

日暮還灌畦(일모환관휴)                      저물녘엔 밭고랑에 물을 대는데,

縣吏知我至(현리지아지)                      고을의 관리는 내가 돌아온 것을 알아,

召令習鼓鞞(소령습고비)                      불러다가 북치는 법을 배우라 하네.

 

雖從本州役(수종본주역)                      고을의 부역으로 가야 하건만,

內顧無所携(내고무소휴)                      집안을 둘러봐도 가족이 없어,

近行止一身(근행지일신)                      가까운 곳에 가도 다만 내 한 몸이요,

遠去終轉迷(원거종전미)                      먼 곳으로 가면 미혹되어 헤매게 되네.

 

家鄕旣盪盡(가향기탕진)                      내 집이나 내 고향이나 온통 없어져 버렸으니,

遠近理亦齊(원근이역제)                      멀든 가깝든 다를 것 없지만,

永痛長病母(영통장병모)                      한이라면 오랜 병을 앓다 가신 어머니를,

五年委溝谿(오년위구계)                      오 년이 되도록 안장 못한 것.

 

生我不得力(생아부득력)                      낳아주신 어머니를 모시지 못하니,

終身兩酸嘶(종신양산시)                      우리 모자는 둘 다 아프게 울면서 지내왔구나.

人生無家別(인생무가별)                      인생살이에서 살림을 이루지 못한 이별을 하여

                                                        어머니를 봉양하지 못했으니,

何以爲蒸黎(하이위증려)                      이러고도 나를 백성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

1) 무가별(無家別) : 가정을 이루지 못한 이별. ‘이별할 가족도 살림도 없음’의 뜻.

無家를 두시언해에서는 ‘불성가계(不成家計, 살림살이를 이루지 못함)’라 했음.

 

2) 천보(天寶) : 당나라 현종의 연호.

 

 

 

* 두보의 삼리삼별시(三吏三別詩) 중 삼별의 하나로, 안록산의 난에 참전했다가 고향으로 돌아온 장정의 이야기를 그 장정이 말하는 듯이 읊었다.

내용은 ‘현종 천보 연간(玄宗 天寶 年間)의 난리로 집과 논밭은 황폐해지고, 100여 가구 마을 사람들은 사방으로 흩어졌다.

장정이 마을로 돌아와 보니 산 사람은 소식 없고, 죽은 자는 흙이 되었으며, 마을은 텅 비고 햇빛마저 흐렸더라.

다만 여우와 삵만이 독살스럽게 짖을 뿐, 사방으로 찾아보아야 홀로 된 늙은 할멈 한둘이다.

그래도 내 고향이니 떠날 수 없어 봄에 농사일을 하는데, 고을의 벼슬아치는 나를 불러 전투에 쓰는 북인 전고(戰鼓)를 두드리는 일에 징발(徵發)한다.

고을로 사역(使役)을 나가기는 하지만 집안에는 배웅해 주는 가족이라고는 없구나.’이다.

끝부분에 자기 한 몸은 어디서 죽은들 아무 상관이 없으나, 작고한 어머니의 장례를 제대로 치르지 못함이 한스럽다고 토로하여 효도로 끝맺으니 독자로 하여금 비감에 잠기게 한다.

 

5언고시(5言古詩)로서, 전 16연[32구] 중 마지막 5연 10구는 압운은 迷, 齊, 谿, 嘶, 黎 자로 평성 ‘제(齊)’ 평운이다.

고시여서 평측은 고르지 못하여 차례로 ‘仄平仄仄平, 仄仄平仄平, 平平仄仄仄, 仄仄仄仄平, 仄仄平仄仄, 仄平仄平平, 平仄仄仄仄, 平平仄平平, 平平平平仄, 平仄平平平’이다.

이사부동(二四不同)은 제1, 3, 10구에서만 이루어졌다.

                                                                                      (한시작가작품사전, 국학자료원 참조)

 

게오르그 잠피르(Gheorghe Zamfir) / 여름비(Pluie D'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