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속담에 '신선놀음에 도끼 자루 썩는 줄 모른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옛날에 어느 나무꾼이 나무를 하러 갔다가 두 신선이 두는 '바둑'에 정신이 팔려서 한없이 구경하다가 그만 도끼 자루가 썩을 만큼 수많은 세월을 흘려보냈다는 얘기입니다.
도대체 이 '바둑'이 얼마나 재미있는 것이기에 자루가 썩는 줄도 모르고 구경을 했을까요?
'바둑'을 아는 분이라면 이 속담을 충분히 이해하실 겁니다.
'바둑'의 오묘한 맛과 넘치는 즐거움!
그 어떤 것에 비교할 수 있겠습니까만 '바둑'을 두면서도 정작 '바둑'에 대한 말의 본뜻을 알고 계신 분은 그리 많지 않으리란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오늘은 '바둑'의 어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바둑'이란 말은 15세기의 <금강경삼가해>를 보면 나오는데요.
이때에는 '바둑'이 아니라 '바독'이란 단어를 쓰고 있습니다.
이 '바독'이 '바둑'으로 변한 것이 분명한데요.
'바둑'의 어원을 찾아보니까 대략 두 가지로 정리가 되더군요.
그중 하나가 '바독'을 겉이나 표면을 뜻하는 중세국어 '바'에 'ㄷ'을 붙인 '받'으로부터 나온 단어로 보는 것인데요.
즉 '받'에 접미사 '옥'을 붙여서 '받옥'이 된 것이죠.
16세기 <훈몽자회>에서는 손바닥을 '손바독'이라고 했는데요.
'이때 '바독'이 그 '바독'일 것이다'라고 추측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렇게 봤을 때 '바독'은 '바둑을 두는 넓은 판'에 빗대어 명명된 단어일 가능성이 있고요, 그렇다면 이 어원의 의미는 '평평하고 넓은 판' 정도가 되겠지요?
하지만 이 어원설을 '바독'의 다른 명칭으로 '바돌'이 존재한다는데서 설득력이 조금 약합니다.
이보다 더 믿을만한 설은 '밭 전(田)'과 '돌 석(石)'의 결합으로 보는 것입니다.
지역에 따라서는 '돌'을 '독'이라고도 하고, '바둑'을 '바돌'이라고 하기 때문에, '바독'의 '독'이 '돌'일 가능성이 높은 것이죠.
그렇다면 '밭독'에서 'ㅌ'받침이 떨어져 나가 '바독'이 되고, '독'이 '둑'으로 변해서 '바둑'이 되었다는 해석이 나오는데요.
어쨌든 이 '밭독(田石)'설에 근거하면 '밭독'의 '밭'은 넓은 바둑판을 가리킬 수 있고, 바둑판을 이루는 361개의 네모난 공간을 가리킬 수도 있겠지요?
자, 이렇게 앞의 '바독설'과 방금 말씀드린 '밭독설' 중 딱히 어느 것이 맞다고 말씀드릴 수 없지만 이러한 '설'에서 연유됐다는 점은 어느 정도 설득력이 있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