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명시/러시아

예브게니 알렉산드로비치 옙투셴코(Евге́н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Евтуше́нко)

높은바위 2023. 3. 10. 07:56

 

바비 야르(Babi Yar)

 

바비 야르 위에는

아무런 기념비가 없다.

가파른 협곡은

마치 황폐한 묘비 같다.

나는 오늘 이스라엘 민족과

같은 나이를 먹었다고 느끼며

두려워한다.

 

나는 이제 내가 유태인이라고 느낀다.

여기서 나는 고대 이집트를 떠돈다.

그리고 여기 십자가에 매달려 죽으며,

아직도 나는 못자국이 나있다.

 

나는 내가 드라이푸스라는 느낌이 든다.

부르주아 무리들이

나를 고발하고 재판한다.

나는 철창 속에 있다.

나는 둘러 싸여서

학대받고, 침세례를 받고, 비방받고,

레이스 장식을 한 멋진 여인들이

내 얼굴에 양산을 들이대고

괴성을 지른다.

나는 내가

비엘로스톡의 작은 아이로 느껴진다.

바닥에는 피가 튀어 있다.

선술집의 주모자는

짐승같이 되어간다.

그들에게서 보드카와 양파 냄새가 풍긴다.

나는 땅을 발로 찬다.

나는 힘이 없으며,

박해자에게

쓸데없이 사정한다.

그들은 "유태인들을 죽여라! 러시아를 구하자!"라며 낄낄댄다.

한 곡물상이

내 어머니를 때렸다.

오 나의 러시아 국민이여, 나는,

당신들이

가슴속에는 국제주의자지만,

저기 저들이

더럽힌 손을 가지고

당신들의 이름을 능욕한 것을

안다.

나는 나의 나라가 훌륭하다는 것을 안다.

유태인 배척자들이

조금도 부끄러움도 없이 그들 자신을

"러시아 국민 연합"이라고 하는 것이

얼마나 더러운 일인가.

나는 내가 안네 프랑크라고 느낀다.

4월의 총성처럼 순수한,

나는 사랑에 빠져 있으며,

말이 필요 없지만,

서로를 보고는 있어야 한다.

 

우리가 보고 냄새 맡을 수 있는 것은

얼마나 적은가!

잎사귀들과 하늘은

우리에게서 떠났고,

그러나 우리는 많은 것들을 할 수 있다--

우리는 부드럽게 서로를 껴안을 수 있다.

어둡게 만든 방에서!

-- "누가 오고 있어요!"

-- "두려워하지 마세요.

이것은 봄의 소리예요.

봄이 오고 있어요.

이리 오세요.

어서 당신의 입술을 주세요!"

-- "그들이 문을 부수고 있어요!"

-- "아니에요! 얼음이 깨지는 거예요!"

바비 야르 위에는 들풀이 살랑거리고,

나무들은 위협하려는 듯이 보인다.

마치 재판정인 듯이.

여기서는 모든 것이 소리 없이 절규하고 있으며,

모자를 벗으면서 나는

내가 천천히 머리가 희어지는 듯이 느껴진다.

그리고, 나는

이곳에 묻힌

수천이 넘는

긴, 소리 없는 절규가 되며.

나는 여기서 총에 맞은

한 사람 한 사람의 노인이며,

나는 여기서 총에 맞은

한 사람 한 사람의 아이이다.

나는 어떠한 부분도 이것을 영원히 잊을 수 없다.

마지막 유태인 배척자가

마침내 땅에 묻히는 때에

"국제적"으로 하여금 큰 소리를 외치게 하자.

내 피 속에는

유태인의 피가 흐르지 않는다.

하지만 마치 내가 유태인인 듯이

나는 염증을, 나는 증오심을 느낀다--

이것은

내가 진정한 러시아인이기 때문이다!

 

 * * * * * * * * * * * * * * 

 

바비 야르. 

러시아 작곡가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1906~1975)의 교향곡 13번은 이렇게 불린다.

바비 야르는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에서 조금 떨어진 마을 이름이다.

독일과의 전쟁의 한창이던 1941년 9월의 어느 날, 나치 친위대(SS)는 바비 야르에서 집단 학살을 저지른다.

유대인, 집시, 우크라이나인 등 3만 명이 넘는 이들이 독일군 기관총에 희생됐다.

 

쇼스타코비치는 예브게니 옙투셴코(1933~2017)의 시를 가사로 삼아 이를 추모했다.

러시아 내 반 유대인 정서를 비판한 옙투셴코의 시를 인용한 교향곡 13번은 1962년 12월 18일 모스크바 콘서바토리에서 초연이 이루어졌다.

소비에트 정권은 쇼스타코비치의 작품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경찰이 공연장 밖에서 대기했고 프로그램 북도 배포하지 않았다.

 

쇼스타코비치의 일생은 러시아 현대사 그 자체다.

그는 정권에 순응했고, 비판했고, 예술적 자유를 강하게 요구하기도 했다.

줄리언 반스는 쇼스타코비치의 삶을 다룬 『시대의 소음』에서 "그가 무엇으로 시대의 소음과 맞설 수 있었을까. (중략) 수십 년에 걸쳐 역사의 속삭임으로 바뀌는 그런 음악. 그가 고수했던 것이 바로 그것이었다"라고 적었다.

 

바비 야르가 또다시 전쟁의 포화 속으로 빨려 들어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러시아 10만 병력이 우크라이나 접경 지역으로 이동했고 내년 초 침공할 수 있다는 주장이 외신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

2014년 크림반도 강제 점령처럼 러시아가 실효 지배할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침공에 앞선 러시아의 서방 국가 견제는 노골적이다.

러시아 정부는 폴란드를 거쳐 독일로 연결되는 야말-유럽 가스관을 잠갔다.

우크라이나를 경유해 유럽으로 가는 가스 공급도 20% 가까이 줄였다고 한다.

 

러시아 리스크에 겨울철 가스 대란 가능성이 커지며 에너지 수급에도 비상이 걸렸다.

가스 공급이 막히며 유럽 가스 가격은 치솟고 있다.

천연가스 소비 중 러시아 수입이 차지하는 건 5% 수준에 불과하지만 세계적인 에너지 대란이 이어질 경우 한국도 적지 않은 타격을 받을 것이다.

하지만 눈앞에 다가온 에너지 대란보다 더 우려되는 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다.

쇼스타코비치가 '바비 야르'에 담았던 차별에 대한 저항과 자유는 지금도 시대의 소음에 묻혀 있다.

이를 드러내는 건 우리의 몫이다.

           - 중앙일보 강기헌 기자 2021.12.27 00:20 -

 

 * * * * * * * * * * * * * * 

 

영국 런던대 버크벡칼리지 교수 올랜도 파이지스(Orlando Figes, 1959~)는 2011년 저서 ‘혁명 러시아 Revolutionary Russia’의 밑그림을 세 개의 세대론으로 그렸다. 처음은 당연히 1917년 10월 혁명 주역인 ‘올드 볼셰비키(Old Bolsheviks)’다. 1870, 80년대 제국 말기에 태어나 차르 체제의 억압 속에서 청년기를 보낸 그들은 공산주의의 유토피아적 이념과 군대적 규율로 1차 대전과 내전, 혁명을 주도했다. 두 번째는 스탈린 체제(24~53년)의 일국사회주의를 공부하며 성장한, 이른바 ‘브레즈네프 세대’다. 농업집단화와 급속한 산업화 및 사회주의 근대화, 애국주의, 전체주의로 단련된 그들은 흐루쇼프 유화체제(53~64년)의 강력한 견제세력이었고, 브레즈네프(64~82년) 집권기의 주역이었다.

1925~45년 태어나 흐루쇼프의 반스탈린 개혁과 제한적인 해빙기(이른바 ‘Khrushchev Thaw’)에 활약한 어렴풋한 자유주의자들을 러시아에서는 ‘세스티데시아트니키(Shestidesiatniki, Sixties People)’, 서방에서는 줄여서 ‘식스티어스 Sixtiers’라 부른다. 그들은 스탈린 이전 사회주의 이상과 50, 60년대 서방의 비트-히피 문화에 관심을 쏟으며 전체주의에 저항했던 비판적 지식인들이었다. 그들 중 일부는 흐루쇼프 실각 후 탄압과 투옥, 강제추방과 망명 생활을 했고, 일부는 남아 80년대 후반 고르바초프-옐친 개혁ㆍ개방 시대를 지지하고 이끌었다.

대표적인 ‘식스티어스’로 꼽히는 러시아 시인 예브게니 옙투셴코(Yevgeni Yevtushenko)는 그 두 ‘일부’의 경계를 넘나들며 비교적 복된 생을 살았다. 서방 사회는, 때로는 소비에트 정부 비판도 서슴지 않던 그를 용기 있는 반체제 작가로 대접했고, 감옥이나 망명지에서 험한 세월을 보내야 했던 ‘진짜’ 반체제 지식인들 중에는 탄압도 별 제약도 없이 사는 그를 “당이 허용한 곳에만 돌을 던지는” 변절자나 위선자로 여기곤 했다. 그를 팬덤에 취한 광대쯤으로 냉소하는 이들도 있었다.

자칭 애국자로서 러시아와 함께 서방 세계의 자유를 함께 사랑했고, 사회주의 이념적 가치와 기질적 분방함을 시인의 열정으로 화해시키고자 했던 예브게니 옙투셴코가 4월 1일 별세했다. 향년 83세.

흐루쇼프가 스탈린 격하의 첫 포문을 연 게 1956년 2월 제20차 당대회에서였다. 스탈린을 업고 출세한 노소의 당료들 앞에서 그는 일인숭배와 철권통치의 숱한 범죄행위들, ‘반혁명분자’ 고문 숙청 학살의 만행을 격렬하게 성토했다. 졸지에 그 범죄권력의 공범 혹은 방조자로 지목돼 사색이 된 참석자들에게 흐루쇼프는 연설 내용이 서방에 알려져서는 안 된다며 함구령을 내렸지만, 이른바 그 ‘흐루쇼프의 비밀연설’은 은밀하게 대회장 바깥으로 퍼져나갔다. 50년대 말 60년대 초 소비에트 러시아는 변화의 기대와 퇴행의 불안이, 흐루쇼프의 괴팍한 변덕처럼, 혼란스럽게 교차하고 있었다.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닥터 지바고’는 작가동맹의 검열에서 혁명 이념 위에 사적인 연애사를 둔 불온 소설로 낙인찍혀 국내 출간이 불허됐다. 그는 57년 이탈리아에서 저 작품을 출간했다가 작가동맹에서 제명당했고, 추방당하지 않기 위해 58년 노벨문학상 수상을 거부해야 했다. 그리고 1960년 숨졌다. 파스테르나크의 관을 멘 이들 중에 옙투셴코가 있었다. 그의 장례식은 ‘식스티어스’의 출정식이기도 했다. 런던정경대 냉전사학자 블라디슬라프 주보크는 그들 식스티어스를 소비에트의 마지막 인텔리겐차라 규정하며 2011년 자신의 책 제목을 ‘지바고의 아이들 Zivago’s Children’이라 달았다.

옙투셴코는 이듬해인 1961년 그의 대표 시로 꼽히는 ‘바비 야르(Babi Yar)’를 발표했다. 우크라이나 키예프의 바비야르 협곡은 41년 9월 나치가 유대인 3만여 명을 학살한 골짜기 지명. 우크라이나 당국은 사건 후 20년 동안 방치해 두던 바비야르를 개발해 대규모 운동장을 건설하려 하고 있었다.

“바비 야르 골짜기에는 기념물 하나 없네/ 저 순정한 벼랑이 묘비이런가/ 그게 나는 두렵다/ 그날의 그 유대인들처럼/ 이제 나도 나이를 먹었고/ 마치 내가 그들 같아/ 내가 그 유대인들만 같아//(…) 군홧발에 걷어 차여 나는 쓰러져 있고/ 그 야만에 조아려 부질없이 빌어보지만/ 아 저 고함소리/ 유대인을 죽여라! 러시아를 구하라!”(전문은 remember.org)

유대인 탄압과 학살에 관한 한, 소비에트 정부와 슬라브민족도 결코 자유롭지 못했다. 그는 저 시로 국가적ㆍ민족적 국수주의의 위선을 폭로했고, 단 한 마디 언급 없이 스탈린 치하의 야만을 환기시켰다. 당시 이미 이름을 나리던 그는 저 시로 더 유명해졌고, 신생국 이스라엘의 환호 속에 그의 시는 여러 언어로 번역됐다.

뉴스위크 모스크바 특파원을 오래 지낸 한 기자는 러시아인에게 문학은 종교만큼 강력하다”라고 썼다. 특히 시(인)는 10월 혁명 붉은 광장의 마야코프스키가 그랬듯이, 주요 국면에서 컬트적 열정을 결집하는 구호가 되기도 했다. ‘러시아의 시인은 시인 이상이다’란 말이 그런 의미일 것이다.

1976년 모스크바의 한 강당에서 시를 낭송하는 옙투셴코. 그는 대중스타 못지않은 컬트적 인기를 누린 시인이었고, 무엇보다 빼어난 낭송가였다. 타스통신, rferl.org에서..

한때 축구선수가 되려고도 했던 그는 훤칠한 키와 금발에 푸른 눈을 지녔고, 훗날 영화를 만들고 출연도 했을 만큼 대중 앞에 나서는 걸 즐겼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그가 61년 한 해에만 초대받은 시 낭송회가 250여 회였다. ‘바비 야르’를 자신의 교향곡 13번 부제로 쓴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는 “도덕은 양심의 자매다. 옙투셴코가 양심을 이야기할 때 아마 신이 그의 곁에 있었을 것이다. 나는 매일 아침 기도를 할 때마다 그의 시를 거듭 암송하곤 한다”라고 말했다.(NYT, 2017.4.1)

옙투셴코는 1933년 7월 18일 시베리아 횡단열차가 지나는 이르쿠츠크 외곽 지마(Zima)에서 태어났다. 제국 귀족이던 조부와 외조부는 37년 ‘인민의 적’으로 몰려 굴라크에서 숨졌다. 아버지는 지리학자였고, 어머니는 훗날 가수로 활동했다. 옙투셴코가 7살 되던 해에 부모는 이혼을 했고, 그는 어머니와 함께 2차 대전이 날 때까지 모스크바에서 성장했다. 10살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해 16살에 한 스포츠잡지에 그의 시가 실렸다고 한다. 51~54년 고리키 문학원(Gorky Institute of Literature)에서 공부했고, 19살이던 52년에 첫 시집 ‘미래의 전망 The Prospects of the Future’을 묶어냈다. 그 시집으로 그는 소비에트 작가동맹 최연소 회원이 됐지만, 블라디미르 두진체프(1918~1998)의 문제 장편 ‘빵만으로는 살 수 없다’(1957)를 공개적으로 옹호, “소비에트의 삶을 부정적으로 묘사한 소설”을 편들었다는 이유로 두진체프와 함께 제명당했다. 고향 농촌을 배경으로 개인의 서정을 주로 담았다는 그의 장시 ‘지마 역 Zima Junction’을 발표한 것도 그 해였다. 그가 연맹에서 제명을 당한 건 그의 ‘쁘띠적 감성’ 탓도 있었을 것이다. 동시에 그는 고집 세고 반항적인 청년이었고, 그 때문에 고리키문학원도 중퇴(퇴학당했다는 설도 있다)했다. 하지만 그의 시들 중 일부가 노랫말로 쓰일 만큼 그는 대중적으로는 큰 인기를 누렸다. 데일리비스트(dailybeast.com)가 그를 러시아의 ‘밥 딜런’이라고 소개한 까닭은, 그의 시가 노랫말 같고, 그의 낭송이 가수의 공연처럼 드라마틱해서였다.

그의 시 ‘스탈린의 후계자들 The Heirs of Stalin’이 당 기관지 ‘프라브다’에 실린 것은 62년이었다. “무뚝뚝한 표정으로/ 방부 처리된 주먹을 불끈 쥐고/ 죽은 척 관 틈새로/ 그가 훔쳐보고 있다/ 누가 자신을 옮기려 하는지/ 그들을 모두 기억하기라도 하려는 듯이//(…) 나는 정부에 호소한다/ 능묘의 경비병을 두 배로/ 세 배로 늘리라고/ 그가 다시 일어나지 못하게/ 그와 함께 과거가 일어나지 못하게//(…) 과연 어떻게 그를 치워야 할까/ 그의 후계자들로부터”(부분) 흐루쇼프의 개혁파와 보수 강경파의 암투가 치열하던 때였다. 그의 시는 마치 흐루쇼프의 주문을 받아 쓴 것 같았다. 시사주간지 ‘타임’은 그 해 4월 러시아의 변화 특집과 함께 옙투셴코의 얼굴을 표지에 담았다. 그는 흐루쇼프의 특사로 미국 등을 공식 방문해 로버트 케네디 등 정치인을 만났고, 프라브다의 특파원으로 쿠바의 피델 카스트로를 인터뷰하기도 했다.

‘파리 리뷰’ 기자는 그 무렵의 그를 당의 준 공식 대변인 같았다고 소개했다. 흐루쇼프가 실각하고 브레즈네프 체제가 갓 출범하던 65년의 봄 같지 않던 봄, 옙투셴코는 소비에트 문학과 문화의 미래를 낙관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시민의 삶의 온기를 회복하는 것이 급선무다. 그것만이 우리를 구원하고 세상을 구원할 것이다. 러시아 인민들은 긴 고통을 겪어왔다. 평온함을 회복하고, 각자의 삶이 다시 꽃피도록 해야 할 책무가 우리에게 있다. 불의와 어리석음과 피를 어떻게 보상할 것인가. 그 일을 방해하는 그 무엇도 우리의 공산주의 사회에는 없다. 오히려 우리는 우리 안의 두려움을 먼저 극복해야 한다. 수많은 작가들이 앞장서고 있다.” (theparisreview.org, 65년 봄호)

1962년 4월 13일 자 'Time' 표지의 옙투셴코.

현실은 그의 기대와 사뭇 달랐다. 시인 작가들이 그 일에 앞장선 것은 맞았지만, 그들 다수가 검열당하고, 감시당하고, 구속당하고, 유배당하고, 추방당했다. 하지만 옙투셴코는 대체로 무사했다. 원 없이 책을 냈고, 출입국 제재를 당한 적도 거의 없었다. 그러면서도 87년 노벨상을 수상한 반체제작가 요셉 브로드스키(1940~96)의 65년 재판 당시 동료 작가들과 함께 항의 서한에 맨 먼저 서명했고, 아르칸젤스크로 유배당한 그의 석방을 위해 백방으로 노력했다. 18개월 만에 풀려난 브로드스키는 옙투셴코와 근 2주 동안 함께 지낼 만큼 가까웠으나, 72년 6월 브로드스키가 추방당한 뒤로 둘은 원수처럼 지냈다. 훗날 한 인터뷰에서 브로드스키는 KGB의 결정 배후에 옙투셴코가 있었다고, 믿을 만한 사람으로부터 전해 들었다고 말했다.(데일리비스트, 위 글) 물론 옙투셴코는 격렬하게 부인하며 브로드스키의 ‘배은망덕’을 여러 차례 성토했다.

65년 서방에서 책(‘A Voice from the Chorus’)을 허가 없이 가명으로 출간한 일로 고리키문학원 교수 안드레이 시냐프스키(Andrei Sinyavsky)가 7년 중노동형을 선고받았다. 그 판결에 항의해 작가 63명이 서명했지만, 그 명단에 옙투셴코는 없었다. 그는 시냐프스키의 형량은 과도하지만 그가 유죄인 건 사실이라는 입장이었다고 한다.(nysun.com, 2008.2.11) 앞서 63년 그 역시 작가동맹 승인 없이 프랑스에서 자서전을 출간, 논란이 된 적이 있었다. 스타 우주비행사 유리 가가린이 “애국심이 결여된 작가”라며 그를 공개 성토한 게 그 일 때문이었다.(파리리뷰, 위 기사) 그때도 그는 무사했다. 그의 책에는 스탈린 시대에 대한 성토로 넘쳐났고, 당시 권력자는 흐루쇼프였다.

그는 68년 바르샤바조약군의 체코 침공을 앞장서 비난한 작가 중 한 명이었다. 그의 시 ‘프라하의 러시아 탱크 Russian Tanks in Prague’가 공식 출판된 건 페레스트로이카 이후인 1990년이었다. 70년대 솔제니친의 ‘수용소군도’ 원고 밀반출을 두고 격분한 안드로프프 체제의 국가보안위원회(KGB)를 설득한 것도 그였고(솔제니친은 파스테르나크와 달리 74년 출국, 노벨상을 수상했다), 79년 소비에트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도 그는 당과 정부를 성토했다 프린스턴대 러시아과 교수 스티븐 코헨(Stephen Cohen)은 옙투셴코가 비록 반체제작가는 아니었지만 그 나름으로 현실을 개선하고 개혁을 위해 헌신했다며 그런 면까지 부정해서는 안 된다고 옹호했다.

코헨의 부인이 미국의 좌파 매체 ‘The Nation’의 발행인 카트리나 밴든 후벌(Katrina vanden Heuvel)이다. 밴든 후벌은 1986년 초 코헨과 함께 모스크바를 방문해 옙투셴코를 만난 일화를 소개했다. 옙투셴코가 모는 차를 타고 가던 중 교통경찰의 제지를 당했는데, 그가 평소와 달리 안절부절못하더라는 거였다. 차 트렁크에는 솔제니친의 ‘수용소군도’가 잔뜩 실려 있었다.(thenation, 2017.4.5) 고르바초프가 권력을 잡은 건 85년 3월이었지만, 당시 솔제니친의 책은 금서였다. 코헨이 말한 ‘그의 헌신’이 아마 그런 거였을지 모른다.

그의 시를 두고도 말이 많다. 이스라엘이 그의 노벨상 수상 로비를 집요하게 벌였다는 설이 있지만, 일부 작품을 제외하면 문학적으로 볼품없다는 거다. 그는 “큐브처럼 기하학적으로 완벽하게 압축해 놓은 볏단 같은 시를 좋아하지 않는다. 어수선하게 정돈되지 않은 채 마른 베리 줄기들과 뒤섞여 유쾌하고 자유롭게 트럭 짐칸에 실려 흔들리기도 하는 그런 시가 나는 좋다”라고 말했다.(nyt, 2017.4.5)

하지만 어쨌건, 그의 수많은 시와 노래가 러시아 현대사의 주요 구비마다 시민들의 마음에 온기와 희망을 북돋운 사실은 부정하기 힘들다. 국정원 대선 개입을 규탄하는 시국선언이 잇따르던 2013년 6월, 서울광화문광장에 선 고등학생 대표 70명이 낭독한 시 가운데 하나도 그의 시 ‘거짓말 Lies’이었다. 그 시는 “아이들에게 거짓을 말하는 것은 잘못이라네/ 허위를 진실인 양 말하는 것도 잘못이지”로 시작해 “잘못을 알면서도 용서해서는 안 되네/ 그냥 두면 반복되고 늘어나/ 나중에 우리 학생들은/ 우리가 용서한 걸 용서하지 않을 테니까”로 끝이 난다.

1991년 8월 보수 쿠데타로 고르바초프가 궁지에 몰렸을 때, 모스크바의 축구경기장 스타디움을 가득 메운 20만 군중 앞에서 그는 특유의 극적인 어조로 자신의 시를 낭송했다. 그는 스스로를 ‘포이티션(poetician)’이라 부르곤 했다. 시인(poet)과 정치인(politician)의 합성어였다. 그가 쓴 두 편의 장편소설 중 하나인 ‘Wild Berries’에는 두 청년이 러시아 시인들의 실명을 거론하며 평하는 대목이 나온다. 한 청년이 “옙투셴코는 어때?”라고 묻자 다른 청년이 “벌써 한물갔지”라고 답한다.(가디언, 2017.4.2) 그 무렵 옙투셴코는 ‘포이티션’으로 살아온 자신의 삶과 문학을 조금은 스산하게 되돌아보았을지 모른다. 하지만 해체된 소비에트 체제의 어제를 회고한 또 한 편의 소설 ‘Don’t Die Before You’re Dead’ 끄트머리에는 ‘잘 가, 우리의 적기 Goodbye, Our Red Flag’라는 시를 실었다. “나는 차르의 겨울궁전을 탐내지 않았고/ 히틀러 제3제국에도 환호한 적 없지/ 나는 당신들이 조롱하듯 부르는 빨갱이(commie)는 아니지만/그래도 적기(赤旗)를 어루만지네/ 흐느끼면서”

그는 모스크바 외곽 작가마을 페레델키노의 집과 91년부터 강의하던 미국 오클라호마 털사대학 인근 집을 오가며 살았다. 그는 첫 부인인 시인 벨라 아크마둘리나와 이혼한 뒤 3번 더 결혼했고, 5명의 자녀를 두었다.

93년 7월 모스크바의 한 호텔에서 열린 회갑연에서 그는 그날을 위해 지은 듯한 시sixties Generation’을 낭송했다. “어떤 이들은 우리에게 열광했고, 어떤 이들은 우리의 인기를 못마땅해했지. 어쩌든 상관없지.(…) 재능이 없다고, 변절자라고, 위선자라고 야유해도 좋아. 아무 상관없지. 우리는 전설이야. 침을 뱉으렴, 이미 우린 불멸이거든!”

최윤필 기자

 

 * * * * * * * * * * * * * *

 

* 예브게니 알렉산드로비치 옙투셴코(Евге́н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Евтуше́нко, 1932년 7월 18일 ~ 2017년 4월 1일)는 러시아의 시인이자 영화감독이다.

1933년 7월 18일 이르쿠츠크주 출생.

옙투셴코는 어머니의 성으로 원래 성은 강누스(Гангнус, Gangnus)이다.

1961년에 바비야르 학살을 주제로 하여 쓴 작품, 바비 야르(Бабий Яр)는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13번의 가사로 사용되기도 한 그의 대표작이며, 이 작품으로 1963년의 노벨문학상 후보가 되기도 했다.



19세의 나이에 '미래의 전망'이라는 첫 시집으로 소련 작가협회에 최연소 회원으로 이름을 올리며 일찌감치 작가로서의 재능을 선보였다.

이후 1952년부터 모스크바 고리키문학대학에서 공부했으나 1957년 발표한 시 '지마역'이 개인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으면서 퇴학당했다.



1961년에 발표된 시  '바비 야르'라는 시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인 1941년~1943년까지 많은 유태인, 러시아인 등이 나치 독일군에 학살당했던 키예프 북서부 바비 야르라는 곳에 소련이 인근 공장의 폐기물 매립장을 세우려 하는 것에 대한 비판, 나아가 바비 야르 사건에 대해서 함구령을 내려 사건을 잊히도록 하려는 소련에 대한 비판이었다.

그전에도 그는 스탈린이 죽었을 때 "우리는 스탈린이 다시는 그의 무덤에서 나오지 못하도록 철저히 감시해야 한다"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반체제적인 작가로 몰려 흐루쇼프 서기장 시절에는 소련 당국의 탄압을 많이 받았다.

1971년 흐루쇼프는 죽기 일주일 전 먼저 전화를 걸어 사저로 불러서 "나는 당신이 옳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그랬기 때문에 당신을 탄압할 수밖에 없었다. 당신은 운이 좋은 사람이다. 시인이라서 진실을 말할 수 있으니까. 그런데 나는 정치가였다. 정치가라는 것이 얼마나 역겨운 직업인지 당신은 모를 거다. 정치가는 쫓겨나지 않으려고, 그저 소리 지르는 수밖에 없는 자리다"라며 옙투셴코에 대한 탄압을 사과했고, 옙투셴코는 흐루쇼프의 장례식에 참석하기도 했다.



이렇게 흐루쇼프 시절 소련 당국을 거침없이 비판했지만, 1964년 흐루쇼프가 권력에서 밀려난 뒤부턴 옙투셴코의 저항 정신도 무뎌지고 체제 순응주의자로 변신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1991년 옛 소련이 붕괴할 때까지 공산당 정부가 제공하는 많은 특혜를 받았고, 국외여행도 비교적 자유롭게 하며 많은 독자를 확보했다.



한창 독자가 많았을 때는 미국 뉴욕의 매디슨 스퀘어 가든을 비롯해 러시아 내외의 대형 운동장에서 수십만 명이 운집한 가운데 시낭송회를 열며 팝스타와 같은 인기를 구가하기도 했다.



1989년에는 국회의원으로 선출되기도 했으며 2007년부터 미국 털사 대학교와 뉴욕 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2017년 4월 1일 털사에서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