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랑비가 슬몃거리며 거리를 적시고 있다.""그에게 남은 것은 가랑비만 와도 비가 새는 삼간 모옥과 나막신 한 켤레뿐이었다." '가늘게 내리는 비'를 이른다. '삽우(霎雨)'나 '세우(細雨)'라고도 한다. 이슬비의 다음 단계로 여겨지기도 하고, 고전 속담으로는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라는 말이 있다. '가랑비'는 '가랑'과 '비가 합쳐져서 된 말이다.'가랑'에 대해서 '가루(粉)로 보는 견해', '가랑이(分)로 보는 견해', '안개(霧)로 보는 견해' 등 매우 다양하다. 특히 세 번째 견해는 두보의 시를 우리말로 옮긴 '두시언해(杜詩諺解)'에서 '老年花似霧中看(노년화사무중간)'을 해석에 있어,'늘근 나햇 고잔 ᄀᆞᄅᆞᄫᅵ(ᄀᆞ랏)속에 보난 닷 하다'라는 기록을 근거로 '가랑'을 안개가 확실하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