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명시/중국

이백(李白)

높은바위 2015. 7. 8. 20:01

 

 

                   새하곡(塞下曲) 변방의 노래 - 五首 중 第1, 2, 5首

 

五月天山雪(오월천산설)                               5월인데도 천산에는 눈이 쌓이어,

無花祇有寒(무화지유한)                              꽃이란 볼 수가 없고 추위뿐일세.

笛中聞折柳(적중문절류)                              오랑캐 피리 소리 속에 절양류곡이1) 들리지만,

春色未曾有(춘색미증유)                              여태까지 봄빛을 보지 못했다네.

曉戰隨金鼓(효전수금고)                              종과 북소리 따라 새벽에도 싸웠고,

宵眠抱玉鞍(소면포옥안)                              밤에는 말안장을 안고 잔다네.

願將腰下劍(원장요하검)                              바라는 건 하루 빨리 허리에 찬 칼로,

直爲斬樓蘭(직위참누란)                              곧바로 누란의2) 두목을 베어버려야지.                    <제1수>

 

天兵下北荒(천병하북황)                              천자의 군사는 북쪽 오랑캐 땅으로 진군하는데,

胡馬欲南飮(호마욕남음)                              오랑캐의 말은 남쪽의 물을 마시고 싶어 하네.

橫戈從百戰(횡과종백전)                              창 비껴들고 많은 싸움에 나아가니,

直爲銜恩深(직위함은심)                              바로 임금님 은혜 입었기 때문일세.

握雪海上餐(악설해상찬)                              눈을 한웅큼 집어 바다 같은 호숫가에서 먹고,

拂沙隴頭眠(불사농두면)                              모래 털어내고는 밭두둑에서 잠자네.

何當破月氏(하당파월지)                              어찌하면 저 서역(西域) 월지(月支)를3)

然後方高枕(연후방고침)                              쳐부순 뒤 바로 베개 높이 베고 쉬려나.                   <제2수>

 

塞虜乘楸下(새로승추하)                              오랑캐가 가을을 틈타 침입하니,

天兵出漢家(천병출한가)                              정벌하는 군사들이 도성을 떠났다.

將軍分虎竹(장군분호죽)                              장군은 병부를 나누어 가졌고,

戰士臥龍沙(전사와룡사)                              병사들은 사막땅에 엎드려 사네.

邊月隨弓影(변월수궁영)                              달은 활 그림자 따라 움직이고,

胡霜拂劍花(호상불검화)                              서리는 칼에 스쳐 꽃잎처럼 흩어진다.

玉關殊未入(옥관수미입)                              옥문관(玉門關)4) 아직 들어오지 않았지만,

少婦莫長嗟(소부막장차)                              젊은 부인은 탄식하지 말아라.                                <제5수>

 

 

--------------------------------------------------------------------------------

1) 절양(折柳) : 악곡(樂曲)의 이름. 절양류(折楊柳). 강가의 버들가지를 꺾어 떠나는 손님에게 주는 이별의 정경을 노래함.

 

2) 누란(樓蘭) : 서역(西域)의 나라 이름.

 

3) 월지(月氏) : 서역의 나라 이름. 월지(月支).

 

4) 옥관(玉關) : 옥문관(玉門關). 한무제 때 설치했으며 서역 각지로 가는 문호였다.

                      그 터가 깐쑤성(甘肃省, 감숙성) 돈황(敦煌) 서북쪽에 있다.

 

 

 

* 새하곡(塞下曲)은 서북방 이민족과 대치하며 서북 국경을 지키고 있는 병사들의 진중 생활(陣中生活)을 읊은 작품이다.

5수 중 제1수는 ‘여름에도 천산 산맥에는 눈이 쌓여 꽃 피는 것은 볼 수 없고 추위뿐이다.

피리 부는 소리에는 절양류의 곡조가 들리지만 봄빛이란 일찍부터 있지를 않다.

징이나 북 소리 따라 새벽에도 전투에 임하고 밤에는 말안장을 안고 잠든다.

바라건대, 허리에 차고 있는 칼로 누란의 우두머리의 목을 베어야 이 싸움이 그치려나.’ 하는 내용이다.

 

제2수는 ‘관군들은 오랑캐 땅으로 진군하는데, 오랑캐의 말이 남녘 땅 물을 마시고 싶어 하는 듯 오랑캐 군사들은 남으로 우리 한(漢)을 침범한다.

창 비껴들고 수많은 전투에 나가는 것은 바로 임금님의 은혜를 크게 입었기 때문이라.

눈을 뭉쳐 청해(靑海) 호숫가에서 밥으로 대신해 먹고, 몸에 뒤집어 쓴 모래를 떨고는 밭두둑에서 잠든다.

어떻게 하면 월지 나라를 쳐부수고 베개 높이 베며 편안히 쉬게 되려는가.’ 하는 내용이다.

 

다음의 셋째 수는 ‘언제 오랑캐를 쳐 공을 세워 기린각(麒麟閣)에 초상이 그려질까’이고,

넷째 수는 고향에 남은 아내의 마음을 그렸으며,

마지막 제5수는 고향에서 기다리는 아내에게 안심하라는 새하(塞下) 병사의 당부를 읊었다.

전쟁의 참상과 비정함을 절실히 드러낸 명작이다.

                                                                      (한시작가작품사전, 국학자료원 참조)

장길산 테마 중에서